1. 화분 받기 2~3일전에 채분기를 설치하여 벌들의 소문 출입을
숙지시킨다.
2. 산란판,봉충판등 내용이 잘 형성되어야한다.
3. 분봉열이 일어나면 채분량이 떨어진다.
4. 전날 저녁이나 이른 아침에 소량을 사양시키면 채분량이 늘어난다.
5. 오후 1시 이후에는 채분을 중단하여 벌의 스트래스를 줄인다.
(우리나라 1일 최다 채분량:계상150군에 120kg)
6. 화분채취 후 생화분은 3kg정도씩 지퍼백에 담아 즉시 냉동실에 보관하고 건화분으로 만들때는 하우스안에서 넙적한 양은 받침대(떡집에서 사용하는 것)에 담아 깨끗히 건조를 한다.
다른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조심스럽게 건조해야 한다.
( 화분의 종류와 약리작용)
식물명 | 개화기 | 먹어서 좋아지는 곳 |
오리목 | 3 | 장염,혈변,변비 |
갯버들 | 3~4 | 해열,이뇨 |
진달래 | 3~4 | 타박상,고혈압,월경불순 |
벚꽃 | 4, | 숙취해소,기침,담을제거, |
도토리 | 4~5 | 전립선염,간장 |
으름 | 4~5 | 이뇨,진통,혈액순환 |
자운영 | 4~6 | 기침,인후염,이뇨 |
찔래 | 5~6 | 허약체질,기관지염,신장염 |
쥐똥나무 | 5~6 | 허약체질,식은땀 나는데,신장이 약할때 |
씀바귀 | 5~6 | 해열작용,폐렴,간염,골절 |
다래 | 6 | 소화불량,장염,간염,황달 |
밤나무 | 6 | 골절,혈변,타박상 |
개다래 | 6 | 중풍,신경통,요통 |
개옻나무 | 6 | 어혈제거,살균 |
광대싸리 | 6~7 | 류마티스,신경통,관절염 |
개망초 | 6~7 | 해열,해독작용 |
옥수수 | 6~8 | 이뇨,복수,고혈압,간염 |
쑥 | 7~8 | 만성간염,식욕부진,몸이냉하면서 소화불량 |
붉나무 | 7~8 | 기침,인후염,두통 |
한삼덩쿨 | 8~9 | 빈뇨,방광결석,폐결핵 |
※ 꿀보약 만들기
▶벌 꿀 : 1.2kg
▶국산로얄제리 : 400g
▶화 분 : 300g~500g
생화분을 넣으면 더욱 좋습니다
건화분일 경우 곱게 갈아서 넣으면 더욱 좋습니다.
▶프로폴리스 : 100cc
잘 희석 냉장보관하여 하루 2회~3회 복용합니다.
꽃가루를 많이 생산하는 방법은 밀원이 풍부하고 벌세력이 강하고 분봉열이 없고 날씨가 알맞으면 꿀과 꽃가루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많이 들어오게 됩니다.
꿀은 애벌레가 적고 외역봉이 많아야 하지만 꽃가루는 벌집에 모은 다음 숙성된 애벌레의 먹이로 활용하므로 기르는 애벌레가 많을 때 더 많이 수집하게 된다.
꽃가루를 많이 받으면 꿀벌들은 더 많이 수집하는 현상을 보게 됩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초봄에 상수리화분(도토리 화분), 다래화분, 찔래화분, 등이 인기가 있다.
★ 더 많이 수집하는 방법과 주의 사항
① 벌이 강하고 분봉열이 없어야 합니다.
② 꽃가루를 받기 전날 저녁에 벅이를 주면 더 많이 들어옵니다.
③ 황사가 있는 날은 받지 않아야 합니다.
④ 개포를 열어주면 벌들이 더 활발해지고 많이 들어오게 됩니다.
⑤ 꽃가루 받이통(채분기)를 사용하면 많이 들어올 때는 넘치게 되므로 쟁반을 받혀도 됩니다.
⑥ 비를 맞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⑦ 화분을 건조하기도 하고 생화분을 냉동고에 보관하여 이용하기도 합니다.
⑧ 화분채분기가 좋아야 합니다.
⑨ 꽃가루를 받으면 더 많은 꽃가루가 들어옵니다.
⑩ 꿀이 들어오는 유밀기에는 받지 않습니다.
⑪ 백묵병(석고병)과 부저병이 발생한 통에서는 절대 받지 말아야 합니다.
⑫ 인공꽃가루를 주지 않아야 하고 벌집에 꽃가루가 모자라면 더 많이 들어옵니다.
출처 :조상기벌꿀 글쓴이 : 조상기
'必霧山邦 > 양봉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밀원식물 개화시기 (0) | 2017.08.19 |
---|---|
[스크랩] 꽃가루(화분) (0) | 2017.08.19 |
자연양봉교육원 수업 정리 - 꿀벌 사양관리 기술 (0) | 2017.03.06 |
자연양봉교육원 1차 현장학습 (0) | 2017.03.01 |
청송 이태연님의 양봉강의 (0) | 2017.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