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원짜리 매화 오만원권 지폐의 매화도입니다. 신사임당의 딸 매창이 그린 매화도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조선 중기의 화가 어몽룡의 매화도입니다. 매화를 좋아해서 평생 매화만 그렸는데 그의 매화도는 중국과 일본의 매화도와는 달리 화려하거나 장식적이지 않고 매화가지의 직.. 나무이야기/그림 속의 나무 2018.02.04
환상의 섬 국중도에서 조희룡을 만나다. 연일 이어지는 기록적인 폭염에 피서 겸 환상의 섬 국중도에 다녀왔습니다. 디지털 화면에 <밤하늘에 별을 찾듯 책을 연다.>라는 글귀가 보입니다. 국중도. 국립중앙도서관. 걸어서 십분 거리에 이렇게 아름답고 환상적인 섬이 있는데도 자주 오지 못했습니다. 조희룡에 관한 자료를 .. 나무이야기/그림 속의 나무 2012.08.06
[스크랩] 조희룡의 생애와 예술 - 성헌기념회 제공 조희룡의 생애와 예술(요약) 1.출생과 학습 조선 문인화의 세계를 연 화가 조희룡은 1789년 5월 경기도 양주(지금의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서 태어났다. 그가 보낸 어린 시절은 영조와 정조 치하의 평화로운 세상이었다. 조선에는 진경 문화가 꽃피었다가 퇴락하고 있었다. 중국 대륙에서 .. 나무이야기/그림 속의 나무 2012.06.04
[스크랩] 매화그림 병풍용 13폭 그림/ 춘강화 매화 화제 詩/모음 梅一生寒不梅香(매일생한불매향):매화의 일생은 차가 움에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 梅經寒苦發淸香(매경한고발청향);매화는 차가운 고통을 겪고 난후 맑은향기를피운다 &#9673;一樹寒梅白玉條(일수한매백옥조)=한 나무 차가운 매화가 하얀 백옥가지 지녀 廻臨村路傍.. 나무이야기/그림 속의 나무 2012.05.25
[스크랩] 송필용 / 20년간 매화에 취한 작가 . 달빛 매화가 선비의 지조를 말하다 20년간 매화에 취한 작가 송필용 ▲ 달빛매화41 40x80cm, oil on canvas, 2011 매화꽃이 피었습니다. 백매화, 홍매화가 다복하게 피었습니다. ‘이젠 끝났다’는 헛소문을 잠재우듯 늙은 몸을 열어 환한 꽃을 피웠습니다. 생명에 대한 그리움이 일제히 꽃등을 .. 나무이야기/그림 속의 나무 2012.05.25
[스크랩] 삼익지우(三益之友) ※ 청대(淸代) 화가 왕사신(汪士愼)의 <매죽석도(梅竹石圖)> 梅寒而秀 竹瘦而壽 石丑而文 是爲三益之友 粲乎其可接 邈乎其不可&#22271; 我懷斯人 嗚呼 其可復&#35247;也 (매한이수 죽수이수 석축이문 시위삼익지우 찬호기가접 막호기불가유 아회사인 오호 기가부구야) 매화는 차가.. 나무이야기/그림 속의 나무 2012.05.14
[스크랩] 왕사신王士愼의 차茶 이야기 왕사신王士愼(1689-1759)은 청淸 옹정雍正황제가 등극한 해에 고향을 떠나 1723년 36세가 되어 양주揚州로 온다. 양주揚州는 강소성江蘇省에 있는 지역으로 양자강揚子江이 동서로 흐르고 경항운하(항주杭州-북경北京)가 남북으로 흐르는데, 그 강과 운하의 두 물길이 만나는 곳이 바로 양주.. 나무이야기/그림 속의 나무 2012.05.14